블로그 이미지
백발노인

Tag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2013. 2. 19. 15:45 진실탐구

내가 컴퓨터를 켜고 브라우저를 띄우면 난 크롬을 쓰는데 구글이 자동으로 뜬다. 오늘이 지동설을 주장한 코페르니쿠스 탄생 540주년 이래네. 그래서 내친 김에 검색을 해보니 코페르니쿠스는 1473년 2월 19일, 폴란드 중북부에 있는 토룬에서 4명의 자녀 가운데 막내로 태어났다 함. 흔히 대담하고 획기적인 생각을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이라고 부르는 데  그 만큼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당시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태양과 별이 지구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는 겉보기 운동과는 달리, 사실은 지구가 돌고 있다는 코페르니쿠스의 우주 체계는 가히 혁명적인 것이었고 인류 역사상 가장 큰 변혁으로 불리는 '과학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고 한다. 



Nikolaus Kopernikus.jpg

출생1473년 2월 19일
Coat of Arms of the Polish Crown.svg 폴란드 왕국
사망1543년 5월 24일
Coat of Arms of the Polish Crown.svg 폴란드 왕국
분야천문학수학약학경제학교회법
출신 대학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
주요 업적지동설 창시
종교로마 가톨릭
서명Nicolaus Copernicus Signature.svg


근데 중요한 것은  이런 지동설은 이미 그리스 시대부터 나왔다는 것. 기원전 3세기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Aristarchos, 310?~230B.C.)가 태양이 행성계의 중심이고 모든 행성은 지구가 아니라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주장한 1543년보다 100여년 앞선 1443년, 우리나라에서도 세종대왕시절 과학자 이순지가 펴낸 조선의 책력(칠정력)에서 지구는 둥글고 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다' 라는 주장을 하였으며 칠정력을 설명한 <칠정산외편>에, 지구가 태양을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365일 5시간 48분 45초라고 까지 계산해 놓았으며 오늘날 물리학적인 계산인 365일 5시간 48분 46초에 1초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왜 오늘날 사람들은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의 전환'이니 머니 하면서 코페르니쿠스의 이름을 확실히 기억하면서 다른 사람의 이름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일까? 자신이 정리한 이론을  당시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서 발표한다는 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이론을 임종 직전인 1543년에야 발표한 것을 보면 투쟁적인 용감성으로 알려진 것도 아닌 것 같다. 


아무튼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의 한계, 그리고 당시 무시무시한 위세를 과시하던 가톨릭 등을 보면서 대중이 얼마나 어리석을 수 있는가?  그리고 고정관념에 사로 잡혀 우리가 저지르고 있는 잘못은 얼마나 큰 것일까? 등  이런 생각이 드는 데 너무 장황하게 풀어 나간다면 격에 맞지 않는 일일 뿐더러 나도 나가 봐야 되기 때문에 이만...


코페르니쿠스 검색

(http://ko.wikipedia.org/wiki/%EB%8B%88%EC%BD%9C%EB%9D%BC%EC%9A%B0%EC%8A%A4_%EC%BD%94%ED%8E%98%EB%A5%B4%EB%8B%88%EC%BF%A0%EC%8A%A4 )


목사님이 쓰신 글 한편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35893 )


'진실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선도  (0) 2013.02.28
독일의 교육  (0) 2013.02.20
노회찬과 황교안  (0) 2013.02.16
한국사 관련 주요 포털 사이트 몇개  (0) 2013.02.13
중국고전 수백권 무료 배포  (0) 2013.02.13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8. 23:34 그나머지

일년에 4번 계절이 바뀌는 데

아마도 겨울의 끝자락에서 봄을 기다리는 마음이 

제일 간절할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대춘부를 읊고

소설가는 대춘부라는 소설을 쓴다.


기실 봄이 온대도 별로 달라질 건 없을 것 같다.

나 같은 사람에겐 자꾸 세월만 흘러 늙어가고

겨울도 나름 재미있는 계절 아닌가?


지나놓고 보면 모두 아름답게 느껴지듯

그렇게 춥대던 올 겨울도 조금은 아쉽게 느껴지네.



자꾸 시간만 가라고 재촉할게 아니라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지내도록 힘쓸지니라.


다만 기다리는 봄이라는 게

보다 희망적인 상황을 의미한다면 O.K.




봄이 오는 길

                 - 박 인 희


산너머 조붓한 오솔길에 봄이 찾아 온다네
들너머 뽀얀 논밭에도 온다네

아지랑이 속삭이네 봄이 찾아 온다고
어차피 찾아오실 고운 손님이기에

곱게 단장하고 웃으며 반기려하네
하얀 새옷입고 분홍신 갈아신고

산너머 조붓한 오솔길에 봄이 찾아 온다네
들너머 뽀얀 논밭에도 온다네
들너머 뽀얀 논밭에도 온다네





 

'그나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ssage of Love  (0) 2013.02.24
장녹수  (0) 2013.02.22
Sarah McLachlan 의 Angel  (0) 2013.02.17
연하장 보내기  (0) 2013.02.12
구정 인사  (2) 2013.02.09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7. 20:31 그나머지

일요일 저녁 생각나는 음악 한곡.

Sarah McLachlan 의 Angel

앞서 포스팅한 양현경의 '너무 아픈 사랑은....' 이라는 노래도 그렇지만

이 노래도 잘 세팅된 좋은 오디오로 듣고 있노라면 눈물이 고인다.

항상 어설픈 색소폰 곡만 올리고 있는 것에 대한 사죄의 의미로 받아주시길... ^ ^


Spend all your time waiting
for that second chance
for a break that would make it okay
there's always some reason
to feel not good enough
and it's hard at the end of the day

다시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며 시간을 보내요
모든걸 괜찮아지게 하는 휴식시간을 위하여
기분이 그다지 좋지 않는데에는
언제나 어떤 이유가 있기 마련이에요 
그런 날의 끝은 견디기 힘들죠

I need some distraction
oh a beautiful release
memory seeps from my veins
let me be empty
oh and weightless and maybe
I'll find some peace tonight

저는 약간의 기분전환이 필요해요
아름다운 해방감 말이죠..
핏줄로부터 새어나오는 기억은
날 비워주네요
오 이 가벼움...
드디어 오늘밤 안식을 찾은 것 같아요


In the arms of the angel
fly away from here
from this dark cold hotel room
and the endlessness that you fear

천사의 품에 안겨
여길 떠나 날아올라요
이 어둡고 차가운 호텔방으로부터..
당신이 두려워하는 끝없는 어떤것으로부터..

you are pulled from the wreckage
of your silent reverie
you're in the arms of the angel
may you find some comfort here

당신은 조용한 몽상의 파편들로부터 헤어져 나왔어요
당신은 천사의 품에 안겨
작은 위안을 찾을 수 있을거에요

So tired of the straight line
and everywhere you turn
there's vultures and thieves at your back
the storm keeps on twisting
you keep on building the lies
that you make up for all that you lack

보수적이고 직선적인 것들에 지쳐
방향을 바꿔 나아가는 곳마다
돈에 눈이 먼 욕심쟁이, 도둑들이 당신 뒤에 있어요
폭풍은 계속 휘몰아치고 
당신은 부족한 무언가를 얻기위해
계속 거짓말을 해대고 있죠

it don't make no difference
escaping one last time
it's easier to believe 
in this sweet madness oh
this glorious sadness that brings me to my knees

마지막 한순간만을 빠져나온다고 해서
차이가 생기는건 아니에요
그보다 이걸 믿는게 더 쉬울거에요
이 달콤한 미친짓,
저를 굴복시키고 마비시키는, 이 기분좋은, 거나한 슬픔을..

In the arms of the angel
fly away from here
from this dark cold hotel room
and the endlessness that you fear

천사의 품에 안겨
여길 떠나 날아올라요
이 어둡고 차가운 호텔방으로부터..
당신이 두려워하는 끝없는 어떤것으로부터..

you are pulled from the wreckage
of your silent reverie
you're in the arms of the angel
may you find some comfort here

당신은 조용한 몽상의 파편들로부터 헤어져 나왔어요
당신은 천사의 품에 안겨
작은 위안을 찾게 될거에요


Sarah Mclachlan, Angel (앨범 Surfacing, 1997년 발매)

=============================================================
* 이곡에서 Angel 은 마약을 의미한다는 썰이 있던데 미루어 짐작하시길... 


  

'그나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녹수  (0) 2013.02.22
봄을 기다리는 마음  (0) 2013.02.18
연하장 보내기  (0) 2013.02.12
구정 인사  (2) 2013.02.09
올해 들어 가장 추운 날  (1) 2013.02.07
posted by 백발노인


서울에 올라가지 않은 토요일이니 

오전 등산에 참여한 것 까지는 좋았으나

점심 뒷풀이에서 술 한잔 마셨겄다.


술 한잔 하는 것 까지는 좋았으나 

그노무 정치 이야기가 또 튀어 나왔네.

아무래도 술을 좀 더 마시게 되드만....


저녁땐 오랫만에 색소폰 동호회 월례회에 참석.

이젠 집도 가깝고 마구 마셔부렀지..

우리 동호회분들은 사실 술을 그리 많이 마시지 않는다.

주류파와 비주류파가 나뉘는 데 그중 내가 주류파.


술 마신김에 내가 요즈음 블로깅을 하고 있다고 이야기 했더니

다른 분들도 자신의 블로그를 이야기 하신다.


등대찻집 ( http://blog.daum.net/doremifa )

아빠다람쥐 이야기 ( http://blog.daum.net/j-sihyun )

하늘소리 색소폰 ( http://blog.daum.net/hanulsori-saxophone )

대소리의 작은 쉼터 ( http://blog.daum.net/daesory )

....................


아마 함께 하지 못한 사람중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도 있을 거다.

이제는 블로그 활동이 보편화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갑자기 내가 예전에 정리했던 axiom이 떠오른다.

'밤 하늘에 별들이 깜박이듯

모든 사람은 자신의 좌표를 알리기 위해 깜박거린다'

(속물노인 어록 033)


'전북장학숙 > 생활의 재발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구공과 골프공  (0) 2013.02.22
임혜지 님의 사이트  (0) 2013.02.21
설 쇠기  (1) 2013.02.11
블로그 조회수가 1,000회를 넘다!!  (4) 2013.02.06
모악산 등반  (0) 2013.02.03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6. 01:00 진실탐구

X파일을 덮은 사람은 법무부장관에 나서고

X파일을 공개한 사람은 국회의원직을 박탈당하니


이거 참 세상이 재미있다고 해야 하나

하느님이 짖궂으시다고 해야 하나...


더구나 두사람은 경기고 동기동창이랜다.

영화 '친구' 속편이라도 만들어야 될 판이다.



수준이 아직 그 정도 밖에 안 되는 노무 나라

정말 가슴이 답답하다.


이번 노회찬의원에 대한 유죄판결은 

아무래도 민심에 미치는 영향이 심상치 않을 듯....


인터넷 조금만 둘러 보아도 많은 글들이 올라와 있고

내 블로그에 링크되어 있는 사이트에만 가 보아도 정리된 글들이 올라와 있으니 

(  http://impeter.tistory.com/2104      http://ibio.tistory.com/783 )


나는 여기에 노회찬 의원의 기자회견 동영상이나 하나 올리도록 하자.



마지막 찰칵거리는 카메라 셔터소리가

격려의 박수소리로 들리는 것은 나만의 환청인가?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5. 20:46 취미활동

떠나버린 여인을 그리며 추려본 3곡





정주고 내가 우네 

          - 트리퍼스


정든 님 사랑에 우는 마음 모르시나 모르시나요

무정한 당신이 내마음 아실 때는 땅을 치며 후회하련만 

어차피 가신다면 이름마져 잊으리 

정주고 내가 우네 너무나도 사랑했기에

정든 님 모습을 행여나 잊을 때는 잊을 때에는

무정한 당신이 내 마음 꾸짖으니 야속하고 우울하지만 

괴로움 남기시고 그대 어이 가려 하오

첫사랑 고백하던 그 말씀을 잊으셨나요





연 인

      - 한 승 기


다시 만날수 있을까~~ 이 밤 지나면~

나의 가슴에 이별을 두고 떠나가는 사람아~~

이젠 부르지 않으리~

애써 다짐해 놓고 밤이 새도록 그대 생각에 눈물 짓는다.

미운사람아~~ 정든 사람아~~

어디서 무얼 하는지....

보고 싶어서 몸부림 쳐도 만날 수 없는 사람아

내가 세상에 태어나 너를 만나 사랑한 것이

지금 나에겐 전부야 다시 돌아와~~ 


미운 사람아~~ 정든 사람아~~

어디서 무얼 하는지....

보고 싶어서 몸부림 쳐도 만날 수 없는 사람아~

내가 세상에 태어나 너를 만나 사랑한것이

지금 나에겐 전부야 다시 돌아와

다시 나에게 돌아와 그 언제라도~





못잊을 사랑

       - 정 의 송


나를 잊었나 벌써 잊었나

아직도 사랑은 가슴에 남아 있는데

잊으려 지우려 아무리 애를 써 봐도

자꾸만 커가는 그리움

후렴:

이토록 못잊을 사랑

왜 내가 보냈나

떠나지마 가지마 애원할껄~~

붙잡지도 못하고

떠나지마 가지마 매달릴껄~~

후회하는 바보 

돌아와요 웃으며 와줘요

내게는 너 하나 뿐이야 



* 나에게도 정말 떠나버린 여인이 있었더라면 

  더욱 감정을 실어 잘 불 수 있었을 텐데...

  쩝! 못내 아쉽다... ^ ^




'취미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se to You  (0) 2013.03.10
영화 베를린  (0) 2013.02.25
스크린 골프  (0) 2013.02.14
오늘이 더 춥대는 데...  (0) 2013.02.08
오디오  (2) 2013.02.01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4. 08:25 취미활동

"난 스크린 같은건 안쳐, 그게 무슨 골프냐?"

친구 녀석의 말이다.
그래 맞는 말이다.

그건 골프가 아니다.
그걸 골프와 동일시 하려는 굳은 머리가 안타까울 뿐이다.
아니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 골프만을 고집하려는 편협성이 문제랄까?

디지털시대에 새롭게 생겨난 운동, 스크린 골프.
이곳 전주에 내려와서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 스크린 골프를 한다.
처음엔 한겨울이라 필드에 나갈 수 없어서 실내운동으로 시작했는 데
이즈음엔 계절에 상관없이 거의 일주일에 한번 정도 치고 있다.

함께 치는 멤버들의 시간부족 및 그럴만한 사정으로 
정규골프장에 자주 나갈 수 없는 탓도 있겠으나
스크린 골프가 별도 장르의 운동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정규골프에서 사용하는 클럽과 볼을 사용하고
게임의 룰이나 승패의 결정방식이 동일하여 혼동할 수 있겠으나
이건 엄연히 다른 운동이라는 게 내 생각이다.

거리 계산방식이나 타수 줄이는 방식 등이 다르고
특히 퍼팅 같은 것은 별도의 기술을 익혀야 될 정도이다.

실제 골프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과의 교감이랄까, 신선한 공기
그리고 잔디밭의 촉감을 느끼며 걷는 기분 등은 없지만
접근의 편의성, 혹한, 혹서기의 쾌적함 면에서는 실제 골프를 능가한다.

갑자기 예전에 골프치려 어떤 골프장에 나갔는 데
비가 줄줄 내리고 있어 골프를 치지 않겠다고 했더니
별 이상한 놈 다 본다는 투로 나를 능멸하던 선배 생각이 나네.

우리나라에서는 골프에 관한 한 왜 그리 비정상적인 사람들이 많은지?
스크린골프를 인정하는 너그러움을 갖춤으로써 정상인이 될 저인저.

다름을 인정하는 순간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속물노인 어록 017) 

 

* 어제 밤늦게까지 한 께임하고 우승기념으로 하나 올리다. ^ ^




'취미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베를린  (0) 2013.02.25
떠나버린 여인을 그리며...  (0) 2013.02.15
오늘이 더 춥대는 데...  (0) 2013.02.08
오디오  (2) 2013.02.01
지난주 녹음한 색소폰 연주곡 목록  (0) 2013.01.13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3. 18:43 진실탐구

우리나라 역사 관련 주요 사이트를 몇개 메모해 두자.

틈나는 대로 우리 역사 공부하는 데 참조 할 수 있도록...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한국역사정보 통합시스템
http://www.koreanhistory.or.kr/


조선왕조 실록 보기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o.kr/main/main.jsp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3. 00:07 진실탐구

중국 고전을 원서로 읽으면 얼마나 좋겠어?
해설은 영어로 되어 있고...
예전에 발견해 두었던 사이트인데 여기에 기록해 놓자.

중국고전 사이트 : http://ctext.org/pre-qin-and-han

=========================================================================


Show translation:[None] [English]

《先秦兩漢 - Pre-Qin and Han》

Related resources
 儒家 - Confucianism 
  論語 - The Analects [Spring and Autumn - Warring States (772 BC - 221 BC)]
  孟子 - Meng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禮記 - Lij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荀子 - Xun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孝經 - Xiao Jing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說苑 - Shuo Yuan [Western Han (206 BC - 9)] Liu Xiang
  春秋繁露 - Chun Qiu Fan Lu [Western Han (206 BC - 9)] Dong Zhong Shu
  韓詩外傳 - Han Shi Wai Zhuan [Western Han (206 BC - 9)]
  大戴禮記 - Da Dai Li Ji [Han (206 BC - 220)]
  白虎通德論 - Bai Hu Tong [Eastern Han] 79-92 Ban Gu
  新書 - Xin Shu [Western Han (206 BC - 9)] Jia Yi
  新序 - Xin Xu [Western Han (206 BC - 9)] Liu Xiang
  揚子法言 - Yangzi Fayan 
  中論 - Zhong Lun [Eastern Han (25 - 220)] Xu Gan
  孔子家語 - Kongzi Jiayu 
  潛夫論 - Qian Fu Lun 
  論衡 - Lunheng 
  太玄經 - Tai Xuan Jing 
  風俗通義 - Fengsu Tongyi 
  孔叢子 - Kongcongzi 

 墨家 - Mohism 
  墨子 - Mozi [Spring and Autumn - Warring States (772 BC - 221 BC)]
  魯勝墨辯注敘 - Mo Bian Zhu Xu [Western Jin (265 - 317)] Lu Sheng

 道家 - Daoism 
  莊子 - Zhuangzi [Warring States - Western Han (475 BC - 9)]
  道德經 - Dao De Jing  [Spring and Autumn (772 BC - 476 BC)]
  列子 - Liezi [Spring and Autumn - Warring States (772 BC - 221 BC)]
  鶡冠子 - He Guan 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文子 - Wenzi 
  文始真經 - Wen Shi Zhen Jing 
  列仙傳 - Lie Xian Zhuan 

 法家 - Legalism 
  韓非子 - Hanfei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商君書 - Shang Jun Shu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申不害 - Shen Bu Hai 
  慎子 - Shen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Shen Dao
  諫逐客書 - Jian Zhu Ke Shu [Warring States] 237 BC Li Si
  管子 - Guanzi [Warring States - Han (475 BC - 220)]

 名家 - School of Names 
  公孫龍子 - Gongsunlong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兵家 - School of the Military 
  孫子兵法 - The Art of War [Spring and Autumn] 515 BC-512 BC Sun Wu
  吳子 - Wu 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Wu Qi
  六韜 - Liu Tao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司馬法 - Si Ma Fa [Spring and Autumn - Warring States (772 BC - 221 BC)]
  尉繚子 - Wei Liao 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三略 - Three Strategies [Western Han (206 BC - 9)]

 算書 - Mathematics 
  海島算經 - Hai Dao Suan Jing 
  九章算術 - The Nine Chapters [Western Han - Eastern Han (206 BC - 220)]
  孫子算經 - Sunzi Suan Jing 
  周髀算經 - Zhou Bi Suan Jing 

 雜家 - Miscellaneous Schools 
  淮南子 - Huainanzi [Western Han (206 BC - 9)]
  呂氏春秋 - Lü Shi Chun Qiu  [Warring States] 247 BC-239 BC Lu Bu-wei
  鬼谷子 - Gui Gu Z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尹文子 - Yin Wen Zi 
  鄧析子 - Deng Xi Zi 

 史書 - Histories 
  史記 - Shiji [Western Han] 109 BC-91 BC Sima Qian
  春秋左傳 - Chun Qiu Zuo Zhuan 
  逸周書 - Lost Book of Zhou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國語 - Guo Yu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晏子春秋 - Yanzi Chun Qiu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吳越春秋 - Wu Yue Chun Qiu [Eastern Han (25 - 220)]
  越絕書 - Yue Jue Shu 
  戰國策 - Zhan Guo Ce 
  鹽鐵論 - Yan Tie Lun [Western Han] 81 BC-9 Huan Kuan
  列女傳 - Lie Nü Zhuan [Western Han (206 BC - 9)] Liu Xiang
  春秋穀梁傳 - Guliang Zhuan [Western Han (206 BC - 9)]
  春秋公羊傳 - Gongyang Zhuan [Western Han (206 BC - 9)]
  漢書 - Han Shu 
  前漢紀 - Qian Han Ji 
  東觀漢記 - Dong Guan Han Ji 
  後漢書 - Hou Han Shu 
  竹書紀年 - Zhushu Jinian 
  穆天子傳 - Mutianzi Zhuan 

 經典文獻 - Ancient Classics 
  詩經 - Book of Poetry  [Western Zhou (1046 BC - 771 BC)]
  尚書 - Shang Shu [Spring and Autumn (772 BC - 476 BC)]
  周易 - Book of Changes  [Western Zhou (1046 BC - 771 BC)]
  周禮 - The Rites of Zhou [Spring and Autumn (772 BC - 476 BC)]
  楚辭 - Chu Ci [Warring States (475 BC - 221 BC)]
  儀禮 - Yili 
  山海經 - Shan Hai Jing 
  焦氏易林 - Jiaoshi Yilin 
  京氏易傳 - Jingshi Yizhuan 
  詩說 - Shi Shuo 

 字書 - Etymology 
  說文解字 - Shuo Wen Jie Zi  [Eastern Han] 100-121 Xu Shen
  爾雅 - Er Ya [Qin - Western Han (221 BC - 9)]
  釋名 - Shi Ming 
  方言 - Fang Yan [Western Han (206 BC - 9)] Yang Xiong
  急就篇 - Ji Jiu Pian 

 醫學 - Chinese Medicine 
  黃帝內經 - Huangdi Neijing 
  難經 - Nan Jing 
  傷寒論 - Shang Han Lun 

 出土文獻 - Excavated texts 
  郭店 - Guodian 
  馬王堆 - Mawangdui 


posted by 백발노인
2013. 2. 12. 21:27 그나머지



해마다 연말 연시가 되면 사람들은 

크리스마스 카드 또는 연하장을 보낸다.


근데 요즈음에도 카드나 연하장을 보내는 사람이 있나?

있을 것이다.

특히 해외에 있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에겐 

카드나 연하장이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데 꼭 필요하다.


그런데도 카드나 연하장을 보내는 사람이 있느냐고 생각해 보게 된 것은 

교통과 통신의 발달, 무엇보다도 인터넷 그리고 스마트 폰의 발달로

자주 접촉을 할 수 있어 멀리 떨어져 있다는 거리감이 없어진 데다가

이런 종류의 안부를 묻는 게 너무 형식적 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

사실은 내가 나이를 먹어 세상살이가 조금 심드렁 해져서

나만 혼자 그리 생각하는 것인지도 모르지. 



내가 해외에서 근무하던 시절에는 회사의 제일 윗어른 부터

임원진들 그리고 많은 분들에게 카드를 보냈었는 데....

얄팍하게도 주로 윗상사들에게 카드를 보냈었던 것 같다.

아랫사람들에게 카드를 주로 보내는 사람은 인격적으로 훌륭하신 분.


당시 내가 듣기로는 높은 분들에겐 카드나 연하장이 많이 오기 때문에

일일히 전달하지 않고 비서실에서 리스트를 작성하여 명단만 보여 드린댄다.

보내는 것도 카드를 산더미 처럼 쌓아 놓고 사인만 착착하여 보낸댔는 데

이렇게라도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 좋은가 보다.


요즈음에도 카톡이나 문자 메시지로 연말인사나 새해인사를 전하던데

집단문자로 오는 경우가 많아 사실 그리 반갑지도 않다. 

내가 못된 놈이라서 그러나?

그래서 나는 그런 문자나마 보내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하나도 섭섭치 않다는 것이다.


이래 저래 이번 연말 연시에 많은 분들에게 제대로 인사도 드리지 못하고

이곳 블로그에 연하장 몇장, 그것도 구정에 올린 것에 대한 변명이랍시고

주절거려 보았다.






 

 

'그나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을 기다리는 마음  (0) 2013.02.18
Sarah McLachlan 의 Angel  (0) 2013.02.17
구정 인사  (2) 2013.02.09
올해 들어 가장 추운 날  (1) 2013.02.07
쉬엄 쉬엄  (1) 2013.02.05
posted by 백발노인